음악사

서양음악사- 르네상스(4) 플랑드르 악파

돌체밀 2024. 3. 8. 20:03
반응형

 

플랑드르 문화

필립 선량공은 부르고뉴 공국의 3대 공작으로 프랑드르 지역을 통합시켰고 이전의 수도였던 디종에서 양모 무역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프랑드르의 브뤼헤로 옮기게 되면서 프랑드르 지역이 문화 예술의 중심지가 되었다. 당시 브뤼헤는 모직물 공업으로 매우 큰 수익을 올리던 북유럽의 무역과 금융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브뤼헤는 베네치아에 견줄만큼 국제적인 상업 도시로 성장하였고 16세기까지 문화예술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브뤼헤뿐만 아니라 헨트, 안트워프와 같은 도시가 부유한 상업 도시로써 예술가들을 후원하면서 프랑드르 지역이 화려한 문화 예술을 꽃피울 수 있게 되었다. 예술 애호가로 알려진 필립 선량공의 궁정에는 당대 유럽 최고의 예술가들이 고용되었다. 특히 후베르트, 얀 반 에이크 형제, 크리스투스, 멤링 등 많은 화가들이 그 궁정에서 활동을 이어나갔다.

 

플랑드르 음악가와 오케겜

부르고뉴 악파와 함께 플랑드르 악파는 르네상스 시대의 중요한 작곡가들 대부분을 포함한다. 이들 대부분은 교회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프랑스 왕, 교황 등에게 봉사하고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 유럽 전역 주요 도시의 궁정에서 활동하였다. 그들은 전체적인 화성을 중요시하는 모방대위법 양식을 사용하였다. 이들은 다성음악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모든 성부에 동등한 중요성을 부여하였다. 오케겜은 플랑드르 악파의 첫 세대 중 가장 중요한 작곡가로 주로 미사나 모테트 등 교회음악으로 알려진 작곡가이다. 오케겜은 15세기 후반부의 독보적인 음악가이다. 그는 다른 작곡가들과는 달리 대부분의 생애를 프랑스 왕실에서 봉사했을뿐 다른 지역에는 거의 여행을 하지 않았다. 오케겜은 화려한 베이스 목소리를 가진 가수로도 유명했으며 '황금 목소리를 가진 사나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많은 왕족과 귀족, 추기경들에게 인기가 있었다. 또한 작곡가로서도 탁월했는데 생전에 많은 존경을 받으면서 '음악의 왕자'라는 이름으로도 불리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오케겜은 다음 세대의 훌륭한 작곡가들을 배출해낸 유능한 스승으로도 이름을 떨쳤다. 그의 명성에 비해서는 오케겜은 남아있는 작품이 그리 많지 않다. 13곡의 미사곡이 남아있는데 그 중 3곡은 미완성으로 남아있고, 단악장 크레도가 1곡, 다성으로 작곡된 최초의 레퀴엠 미사곡, 5곡의 모테트, 20곡의 샹송 등이 남겨져있다. 이외에도 오케겜이 작곡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은 교회음악 10여곡과 샹송 5곡이 있다. 비교적 미사곡의 수가 많은데 이것은 15세기 후반 중요한 악곡 형식이었기 때문이며 당시 작곡가들은 미사 형식을 통해 그들의 기량을 마음껏 발휘했다.

 

오케겜의 음악

오케겜의 음악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는 반음계적인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선법성을 보인다는 것이다. 또한 프레이즈의 길이가 길고 종지가 자주 나타나지 않는 흐르는듯한 선율이 특징적이다. 오케겜은 베이스 가수이기도 했는데 하성부를 더 낮은 음역으로 확장시키면서 성부들에 동등성을 더욱 부여했다. 1450년 이전에는 하성부가 중앙 C음 이하로는 거의 내려가지 않는 음역대였으나 오케겜은 두 옥타브가 낮은 C음까지 확장시켰다. 오케겜은 다양한 방식으로 음향의 대비를 주었다. 4성부 이상의 곡에서 2성부씩 짝지어 대비를 나타내고, 2성부 또는 3성부 부분과 모든 성부 부분을 대조시키기도 하였으며 호모리듬적인 악구와 대위법적인 부분을 대조시키는 등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였다. 또한 종지에서는 종지에 접근하면 성부들의 리듬이 점차 빨라지며 부점 리듬이 나타나는 종지를 향해 몰아가기 기법도 오케겜의 작품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교회음악을 작곡할 때에는 모든 성부를 동등하게 취급하는 것으로 보였으나 모방은 그다지 사용하지 않았으며 카논을 선호했다. 카논은 한 성부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성부를 끌어내는 것을 말하는데, 부가 성부들은 특정 지시에 의해 파생되고 이와 같이 부가 성부들이 파생되는 규칙을 카논이라 부른다. 예컨대, 두 번째 성부는 첫 번째 성부의 몇 마디 뒤에서 시작하기도 하고, 첫 번째 성부의 전위형태나 역행 형태로 노래하기도 한다. 또한 두 성부가 서로 다른 속도로 진행되도록 만드는 카논 기법도 있다.

반응형